티스토리 뷰

생활

연차수당 계산방법

햇골님 2024. 1. 14. 18:53

연차는 근로자들의 경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며. 연차수당은 일반적으로 근속한 연차에 따라 지급되는 수당이나 보너스를 말합니다.

 

근로자는 자신의 연차 일수가 얼마나 언제 발생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오늘은 연차와 연차수당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차수당계산기-노동ok홈페이지

 


연차란?

연차란 근로자가 1년간 근무한 결과에 따라 생기는 유급 휴가입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년간 근무일수의 80% 이상 출근을 하면 휴가가 기본으로 15개에서 시작해서 해마다 연차에 따라 개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연차수당이란?

근로자가 사용하지 못한 휴무 즉 연차에 대해 금액으로 보상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1월 1일 부터 근무를 시작한 근로자는 2025년 1월 1일까지 근무하면 15일의 연차휴가를 받게 되는데

 

그 연차휴가를 다 쓰지 못하게 되면 연차 수당으로 받을 수 있으며, 근로자의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3년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1년 미만 근로자는 월 만근시 1일의 유급휴가가 생깁니다. 


연차일수 알아보기

연차수당을 청구하기 전에 자신의 연차 일수를 먼저 알아야 하는데요

 

근무 년수가 증가하면 연차일수도 1일씩 늘어나게 됩니다. (1년차 15일/ 2년차 16일~)

 

연차계산기-노동ok홈페이지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수당 계산 방법은 자신의 (통상임금 X 사용하지 않은 연차일수)로 계산하시면 됩니다.

 

주 5일 40시간 근로에 남은 연차일수가 15일이고 기본 급여를 250만원이라고 할 때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입력만 하시면 수당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계산기-노동ok홈페이지

 

이렇게 노동ok 홈페이지에서 연차수당 계산기를 통해 바로 간단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차수당계산기-노동ok홈페이지

 

지금까지 연차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차수당은 법으로 정해진 근로기준법에 따라 보상을 받는 당연한 권리지만 보통 회사 내규에 따라 결정되므로 근로자는 자신이 속한 회사나 근로지의 규정을 확인하시고 이에 따라 연차수당에 대해 미리 숙지하시어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