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다이소는 우리 실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은 생활용품 판매점입니다.
생활용품이 필요하게 되면 제일 먼저 떠오르게 되는 다이소는 저렴하고 품질 좋은 물건이 많고 종류도 무척 다양해 정말 다이소 가면 "다 있소"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특히 가격면에서 너무도 매력적인 다이소몰과 다이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이소(아성다이소)
다이소라는 이름은 일본의 다이소산업(대창산업)에서 지분을 투자받아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이 회사가 운영하는 일본의 100엔 숍 브랜드 이름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2024년 현재 한국의 다이소는 일본 다이소와는 별개로 100% 독자적으로 한국 기업 아성다이소가 운영하는 우리나라 기업입니다.
23년 이후 한국 다이소의 지속적인 실적 성장에 주목하여 일본 다이소산업이 경영참여와 배당금 확대를 요구하자 아성다이소 측에서 다이소산업이 보유한 지분 34.21%를 모두 매입하여 완전히 한국 기업이 되었습니다.
일본 다이소산업은 2001년 당시에 38억을 투자했는데 5000억으로 돌려받았으니 큰 이득을 보았다고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 "NO JAPAN"으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한창일 때 일본 기업이냐 아니냐 논란이 있었는데 이제는 논란이 완전히 해결되었다 하겠습니다.
이를 대변하듯 2023년 12월 기준 지배 구조를 보더라도 확실한 국내 기업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주주명 | 지분율 |
아성에이치엠피 (대한민국) | 84.23% |
박영주(대한민국) | 13.9% |
박수연(대한민국) | 1.87% |
다이소 멤버십
다이소 멤버십은 2015년 10월부터 위포인트와 연계한 멤버십 적립 서비스를 시행하다가 2018년 12월 17일부터는 다이소 자체 멤버십으로 독립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멤버십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이소 어플을 스마트폰에서 다운로드하여 직접 설치 후 가입해야 합니다.
다이소 적립률은 상품 실구매금액의 0.1%라 적립의 의미가 거의 없는 수준입니다.
적립금을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 금액은 50점으로 다이소에서 5만 원가량 상품을 구매해야 적립되는 금액입니다.
그 대신 다이소 매장에서는 현금 IC 카드를 권장하고 있는데 현금 IC 카드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로 결제 금액의 0.5%를 구매자의 계좌로 돌려줍니다.
그렇기 때문에 멤버십 적립과 연계해서 사용하면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이소몰
한웰이쇼핑이 운영하던 다이소몰을 아성다이소가 영업 양수를 받아 2023년 12월 15일 기존 다이소몰과 샵다이소를 통합 개편하여 다이소몰이 출범했습니다.
기존 다이소몰은 다이소의 온라인 쇼핑몰이 아니라 계열사 한웰이쇼핑이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한웰이 쇼핑은 다이소로부터 상표권 사용 허락을 받아 운영되었기 때문에 다이소 점포별로 입고된 상품을 다이소몰에서 검색하는 것은 불가능했고 고객센터에 문의해서 방문 예정인 매장에 일일이 전화해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이소멤버십도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다이소몰에서도 멤버십이 동일하게 적용되고 전국 단위의 익일 배송이 가능하므로 평일 오후 2시까지 주문하면 다음날 상품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
다이소 전국 매장
처음에 다이소 매장이 생겼을 때는 지역에 없거나 매장이 하나인 지역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오프라인 매장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여행 중에 필요한 물건이 생기거나 다른 지역에서 다이소 매장을 찾을 경우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다이소 홈페이지(https://www.daiso.co.kr)에서 GPS 허용 후 주변에 가까운 매장 검색이 가능하니 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다이소몰과 다이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 국민이 애용하고 생활 깊숙이 자리 잡은 대한민국 기업 아성다이소가 더욱 좋은 품질과 다양한 제품으로 우리 생활에 도움이 되어주길 기대해 봅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육(돼지고기) 맛있게 삶는 법 (0) | 2024.01.19 |
---|---|
연차수당 계산방법 (0) | 2024.01.14 |
고속도로 통행료미납 납부 및 조회 (0) | 2024.01.05 |
K-PASS(K-패스)와 알뜰교통카드 신청 방법 (0) | 2024.01.02 |
2024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과 봉급표 알아보기 (0) | 2023.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