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4년 하반기(5월)부터 대중 교통비의 최대 53%를 돌려주는 한국형 "K-PASS"가 도입되며,

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행됩니다. 

지하철 버스 통합 정기권 "K-PAS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K-PASS 신청하기-알뜰교통카드

 

 

 

 

 

 

지하철 버스 통합 정기권 "K-PASS"란?

 

지하철 버스 통합 정기권 "K-PASS"는 월 21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60회 이용 금액의 20~53% 적립,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용도 기존 알뜰 교통카드 보다 편리해 졌습니다.

 

선불 충전식, 후불형 체크카드, 신용카드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출발, 도착 기록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현행 알뜰 교통카드는 보행거리 및 자전거 이동 거리에 비례해 지원되고

 

별도의 모바일 어플을 사용해야 해서 이용이 불편하다는 지적을 받아 왔습니다. 

 

기존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는 이미 발급받은 카드로 

 

"K-PASS"로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K-PASS 적립금은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꼭 신청하셔서 가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K-PASS(K-패스) 적립 금액

 

지하철 버스 통합 정기권 "K-PASS"의 환급 적립률은 이용층에 따라 20~53% 까지 다르게 적용됩니다.

 

매월 21회 이상 지하철이나 버스 등을 이용할 경우 60회까지 적립해 줍니다.

 

알뜰교통카드 매월 15회 이용 횟수에서 변경 증가했습니다.

 

 

대상 1회당(예시:1500원) / 월 최대 적립금액 연간 최대 적립금
일반 (20%) 300원 / 1만 8천원 21만 6천원
청년 (30%) 450원 / 2만 7천원 32만 4천원
저소득층 (53.3%) 800원 / 4만 8천원 57만 6천원

 ★ 청년 기준은 만 19세~ 34세입니다.

저소득층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K-PASS(K-패스) 신청방법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재발급 필요 없이 계속 사용하시면 되고,

 

신규 "K-PASS" 카드 발급받으실 분들은 알뜰교통카드 앱을 통해 알뜰카드를 온라인에서 신청하시거나 

 

이용하시는 은행에서 발급받으셔서 시행 (5월) 이후에도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K-PASS 신청 바로가기

K-PASS 신청하기-알뜰교통카드

 

 

 

 

 

 

 

K-PASS(K-PASS)와 알뜰 교통카드 비교

 

K-PASS

 

1. 어플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이동거리와 무관하고 이용 금액과 이용 횟수를 기준으로 적립해 줍니다.

3. 매월 21회를 초과하여 이용하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4. 카드사의 추가 할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1.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지원되고 어플을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합니다.

2. 어플을 사용에 취약계층이나 어르신들이 이용하기 어려웠습니다.

3. 어플을 이용해 출발이나 도착을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4. 이동거리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아 최소 마일리지만 적립되었습니다. 

 

 

 

 

 

FAQ (자주묻는질문)

질문1: K-패스 카드는 알뜰교통카드와 다른가요?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에 비례해서 적립되었으나 K-패스는 금액과 횟수로 적립됩니다.
또한 최소 이용 횟수도 15회에서 21회로 변경되었습니다.

질문2: K- 패스 카드는 얼마나 적립이 되나요?

1회당 일반인은 300원/ 청년은 450원/ 저소득층은 800원 적립이 됩니다.

질문3:  기존 알뜰카드 사용자는 카드를 바꾸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K-패스카드 시행(5월) 된 후에도 바꾸지 않고 사용 가능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및 신청, 훈련 알아보기

 

국민내일배움카드 자격 및 신청, 훈련 알아보기

국민내일카드는 국민 누구나 일자리에 도움이 되는 직업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고용 노동부에서 제공하는 정책으로, 급격하게 발전하는 기술과 노동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1.goldone-1.com

2024년도 기초연금 자격 및 신청 방법(최신)

 

2024년도 기초연금 자격 및 신청 방법(최신)

2024년도 기초연금이 33만 4천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2023년도 대비 3.3% 오른 금액입니다. 기초연금 대상 어르신들이 정보가 없거나 신청 방법을 모르셔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일이 없었으

1.goldone-1.com

자동차세 납부 비용 아끼는 방법 알아보기

 

자동차세 납부 비용 아끼는 방법 알아보기

자동차세는 자동차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면 매년 1월, 6월, 9월, 12월에 나누어 냅니다. 오늘은 자동차세를 아낄 수 있는 방법과 납부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분 1초가 바쁘신 분을

1.goldone-1.com

 

K-PASS 카드 신청 1
K-PASS 카드 신청 2
K-PASS 카드 신청 3